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2

C++ 버블정렬 2019. 12. 3.
eclipse 톰캣 연동 안될때 404error http://myblog.opendocs.co.kr/archives/1657 2019. 11. 30.
백준넷 10828번 push pop back 이중연결 리스트로 구현하기. 다음은 백준 넷에 있는 문제를 2중연결 리스트를 활용 하여 풀었다. 우선은 이중연결리스를 구현의 Node 생성을 위해 구조체 선언을 하였고 구조체 안에 동일한 포인터형 구조체를 입력 하였다. 이중연결리스트의 경우 핵심은 노드의 위치정보를 기억할 주소값을 저장할 포인터가 필수 인데, 동일한 구조체가 아니면 데이터 형 변수들을 담을수 없기에 사이즈 및 같은 형 같은 데이터 들이 들어있는 구조체를 포인터로 사용 하여 야 하는게 핵심이다. 구조체 안에 포인터 구조체 선언 이라고 생각을 하면 어렵지만, 구조체 안의 구조체는 단지 , 노드의 주소값 들을 저장 할수있게 만들었 다고 생각 하면 쉬울거 같다, 항상 시작점의 위치는 구조체 포인터형 번수인 head 란 구조체 이고, 이 구조체가 연결을 하지 않는다면 널값을.. 2019. 11. 28.
배열의 숫자 의 차 최대치 구하기. 문제) 매일 아침 9시에 학교에서 측정한 온도가 어떤 정수의 수열로 주여 졌을때 , 연속적인 며칠 동안의 온도의 합이 가장 큰 값을 알아보고자 한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10일간의 온도가 주어졌을 때 , 3.-2.-4.-9,0,3,7,8,-03 의 모든 연속 적인 이틀 간의 온도의 합은 3+2 =1 -2+-4= -6 -4+-9=-13 -9+0=-9 0+3 =3 3+7 =10 7+13 =20 13+8 =21 8-3 =6 각 숫자의 합을 구한 것은 위의 예시와 같다 . 입력 값으로 day에 며칠지 연속적으로 구할지 입력 받는다. 입력 받은 날짜로 몇일씩 더해서 합을 해야 할까 ? => day로 입력 받는다. 따라서 전범위의 배열에 들어 있는 날짜에 입력 받은 날짜수 만큼 더해주면 된다. 구현 방식은 2중포.. 2019. 11. 27.